연구실적
-
2025.03
| 단독
| 비평문학 95호, pp.57-82
범죄와 폭력의 기원, 드라마의 다시쓰기- <수사반장 1958>을 중심으로 -
2024.10
| 단독
| 한국연구 17호, pp.4-15
영화 <파묘>에 나타난 가족주의의 양상 -
2024.06
| 단독
| 대중서사연구, 제30권 2호, pp.133-162
포스트힐링의 시대, 치유의 (불)가능성 - <정신병동에도 아침이 와요>를 중심으로 -
2023.12
| 단독
| 문화와융합, 제45권 12호, pp.415-427
텔레비전드라마 “서른, 아홉”(2022)에 구현된 가족의 의미와 한계 -
2023.12
| 단독
| 한국극예술연구 80호, pp.181-207
K-OTT드라마, 재난과 생존주의의 문제―드라마 <몸값>을 중심으로 -
2023.02
| 단독
| 문화와융합, 제45권 2호, pp.737-747
5.18 소재 연극에 나타난 희극성의 양상과 그 의미 - <짬뽕>, <푸르른 날에>를 중심으로 - -
2022.08
| 단독
| 이화어문논집 57호, pp.59-80
이어령 희곡에 나타난 연극성 -
2022.03
| 단독
| 문화와 융합, 제44권 3호, pp.1025-1042
<모범택시>에 나타난 응보적 정의의 구현 양상과 그 의미 -
2021.12
| 단독
| 이화어문논집 55호, pp.85-106
정복근의 「짐」에 나타난 역사 재현 양상 연구 -
2021.04
| 단독
| 문화와 융합, 제43권 4호, pp.523-540
1990년대 덕혜옹주의 극적 재현에 관한 연구-연극 <덕혜옹주>(1995), 텔레비전드라마 <덕혜-마지막 왕녀>(1996)를 중심으로- -
2020.12
| 단독
| 한국극예술연구 70호, pp.49-76
일상이 된 공포, 출구 없는 지옥―OCN <타인은 지옥이다>를 중심으로 -
2019.12
| 단독
| 어문론집, 제80권, pp.213-239
「손 the guest」에 나타난 악의 재현 방식과 그 의미 -
2019.09
| 단독
| 한국극예술연구 65호, pp.13-40
<가족이라는 레트로토피아 ―텔레비전드라마 <응답하라 1988>을 중심으로> -
2019.08
| 단독
| 이화어문논집 (EWHAKL) 48호, pp.185-206
<김명화 작품에 나타난 전쟁 기억의 재현 양상 - 「침향」, 「냉면」을 중심으로>, -
2018.06
| 단독
| 한국극예술연구 60호, pp.139-163
텔레비전드라마 <W>에 나타난 서사적 삶에 대한 열망과 상상의 쾌락 -
2017.03
| 단독
| 한국극예술연구 55호, pp.283-306
OCN 수사드라마에 나타난 ‘환상’의 의미- <뱀파이어 검사>와 <귀신 보는 형사 처용>을 중심으로 -
-
2024.07
| 공동
| 소명출판
텔레비전 드라마, 권력을 현상하다 -
2021.02
| 공동
| 북코리아
인성교육, 방법을 묻다 -
2020.11
| 공동
| 소명출판
텔레비전드라마, 판타지를 환유하다 -
2020.02
| 공동
| 가톨릭대학교출판부
키스톤디자인 : 인문창의 -
2018.09
| 공동
| 태학사
시대, 작가, 젠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