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대학

 

대학소개

교수진

안내사항

  • 교수진 정렬 기준 : 힉과장,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임.
게시글 검색
전체
  • 손경락 조교수

    Son Kyung Rak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비르투스관 V311

    손경락(Son Kyung Rak) 프로필 이미지
  • 신의선 조교수

    Shin Eui-sun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비르투스관 V320

    • 연구분야

      중어중문학, 중국시, 고전시가, 미학, 교양교육

    • 연구키워드

      고전시가 중국시 선시(禪詩) 불이(不二) 심미

    신의선(Shin Eui-sun) 프로필 이미지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소속 교수이며, 주로 문학작품이 인간의 내적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심을 두고 있다.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서 고전시가 전공으로 수학하며 「唐宋 禪詩의 心象 活用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중국사회과학원(中国社会科学院,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문학연구소에서 방문학자를 지내며 문예학/미학 분야로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였다.
    고려대장경연구소 및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인문경영연구소에서 융복합 연구 과제를 수행한 바 있으며, 한국중어중문학회,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수사학회, 대한중국학회, 한국동아시아과학철학회, 한국중국문학이론학회의 임원진으로 활동해 오고 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는 『위대한 수사학 고전들』(공저),『글로벌 문화와 인문경영』(공저),『글로벌 평화와 인문경영철학』(공저),「고통과 극복의 시적 체현」, 「한중 선시 속 불이 관념과 갈등 해소를 위한 제언」, 「선종 문예 심미와 인성 교육에 관한 소고」 등이 있다.
    Shin Eui-sun:
    She is a professor in the College of General Education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er main interests are in the impact of literary works on human internal growth. She majored in classical poetry at Yonsei University’s Department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received her doctorate in “A Study on the Use of Mental Images of the Tang and Song Zen Poetry.” She expanded her research horizons as a visiting scholar in literary science and aesthetics at the Institute of Literature,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She has participated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at the Tripitaka Koreana Research Institute and the Global Humanities and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at Catholic University. Additionally,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academic societies, including the Korean Association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The Korean Society of Liberal Arts Education, the Rhetoric Society of Korea, the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etc.
    Her notable publications and papers include “Great Rhetoric Classics” (co-author), “Poetic Embodiment of Sufferings and Restoration,” “The Non-Duality in Korean and Chinese Zen Poetry and Suggestions for Conflict Resolution”, “Study on Aesthetic Appreciation of Zen Literature and Moral Education” etc.
  • 정은기 조교수

    Jeong Eun Ki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니콜스관 N223

    • 연구분야

      현대문학

    • 연구키워드

      현대시

    정은기(Jeong Eun Ki) 프로필 이미지
  • 이진석 조교수

    JIN SOK LEE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김수환관 K222

    • 연구분야

      언어학

    • 연구키워드

      언어변이/변화

    이진석(JIN SOK LEE) 프로필 이미지
    이진석 교수는 Pronouncing English like a Native Speaker, Understanding K-Contents in Glocal Context, Critical Reading across Disciplines 등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의 글로벌 중핵 필수교양과 한국힙합의 랩탐구 등 공유대학 강의를 담당하고 있다. 이진석 교수는 한국 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학 학사와 조지타운 대학교에서 언어학 석사와 박사를 받고 카톨릭 대학교로 오기 전 윌리언앤메리 대학교, 한국외국어 대학교, 성균관 대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언어학 강사, 초빙 연구원, 초빙 교수 등의 경력이 있다. 이진석 교수의 주 연구분야는 언어변이/변화, 언어정체성, 어휘변화의 인지과학적 접근 등이 있으며, 현재 한국어 3인칭 지시사의 의인화 변이와 외래어의 발음 변이, 그리고 힙합 가수들의 발음법과 정체성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Jinsok Lee i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Catholic College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UK). He received a B.A. in English Linguistics from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UFS) and an M.S. and Ph.D in Linguistics from Georgetown University. Prior to his career at the CUK, he worked at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HUFS, and Sungkyunkwan University as a lecturer of psycholinguistics, lecturer of English linguistics, visiting researcher, and visiting professor. Jinsok's research interest focuses on language variation and change, linguistic identity, and cognitive approach to lexical variation. His courses taught at the CUK are required electives including Pronouncing English like a Native Speaker, Understanding K-Contents in Glocal Context, Critical Reading across Disciplines, and Exploring Rap in Korean Hip Hop, and English Linguistics courses.
  • 최복희 조교수

    Choi Bokhee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비르투스관 V319

    • 연구분야

      철학, 성리학

    • 연구키워드

      인간본성론 마음의 개념 도덕공학 포스트휴머니즘 기계윤리

    최복희(Choi Bokhee) 프로필 이미지
    최복희교수는 가톨릭대학교 학부대학 교수이다.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학,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중국 북경대학에서 '주희와 불교사상의 관계' 연구로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서강대학교 철학과 대우교수, 세종대학교 대양휴머니티칼리지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현재 본교 학부대학에서 인간학, I-Design, OTT로읽는철학 등의 교과목을 강의하고 외국인유학생 Adviser와 인간학연구소 편집위원장을 담당하고 있다. 주요 연구분야는 중국과 한국의 성리학에서 인간본성론과 마음의 개념, 그리고 세대간정의론, 포스트휴먼 논쟁 등이다. 현재 'Moral Engineering과 Machine Ethics의 쟁점에 대한 성리학적 해명'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Professor Choi Bok-hee is a professor in the Liberal arts college of Catholic University. She received a bachelor's degree and a master's degree from Sogang University's Department of Philosophy, and a doctorate in philosophy from Peking University in China. She served as a research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s Confucian Culture Research Institute, research professor of philosophy at Sogang University, and research professor at Sejong University's Ocean Humanity College. Currently, she teaches subjects such as anthropology, I-Design, and philosophy reading in OTT at our Liberal arts college, and is in charge of the advisor for international students and the editor-in-chief of the Institute of Human Studies. The main research fields are human nature and the concept of mind in Chinese and Korean Neo-Confucianism, intergenerational justice, and posthuman debate. Currently, research on Neo-Confucianism's explanation on the issues of Moral Engineering and Machine Ethics is in progress.
  • 임민균 조교수

    Im Minkyun

    • 소속학과

      학부대학

    • 연구실

      비르투스관 V301

    • 연구분야

      기초신학

    • 연구키워드

      계시 성경과 성전 신앙과 이성 고통의 문제

    임민균(Im Minkyun) 프로필 이미지
    모든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운명처럼 직면하게 되는 "고통 속에서도 신의 존재를 체험할 수 있고, 희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가?"를 살펴보는 일이 주요 연구 주제라 할 수 있다. 이는 종교의 유무와 관계 없이 인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인생에서 고민하게 되는 주제이며, 이 고통의 순간을 어떻게 직면하고 이겨내는 지에 따라 누군가는 신의 존재를 확신하기도 하고, 누군가는 신의 부재 또는 죽음을 주장하기에 이르기도 한다. 그렇다면 그리스도교 신앙은 과연 이 (무죄한) 고통의 문제에 어떠한 긍정적 해석 전망을 제공할 수 있는지 성찰할 필요성이 있으며, 더 나아가 고통 속에서도 우리와 함께 아파하시는 사랑의 하느님의 현존을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전망이야말로 현대 사회에서 그리스도교 신앙의 긍정적 가치를 증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교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고통의 문제를 다루는 영화, 연극, 소설 등의 문학 장르에 대한 신학적 비평을 통해, 사람들이 보다 알기 쉽게 그리스도교에서 바라보는 고통의 의미에 대해 소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The main research topic is examining the question if it is possible to experience the existence of God and have hope even in suffering. This is the topic that every human being, regardless of religion or not, ponders at least once in their lives. Depending on how they face and overcome this moment of pain, some may be convinced of the existence of God, while others may claim the absence or death of God. If so, there is a need to reflect on what kind of positive interpretive perspective the Christian faith can provide to this problem of (innocent) suffering,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discovering the presence of a loving God who suffers with us even in suffering. This outlook could be an effective missionary method that can testify to the positive value of the Christian faith in present society. For this reason, efforts are being made to introduce the meaning of suffering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in a way that is easier for people to understand through theological criticism of literary genres such as movies, plays, and novels that deal with the issue of suffering.